1993. University of Minnesota-Twin Cities. Ph.D. (Environmental Economics)
University of Wisconsin-River Falls. M.A. (Resource Economics)
1985. 중앙대학교 정경대학 경제학과
2013.9 – 현재. 국무총리실 녹색 성장 위원회 위원
2012.3 – 현재. 삼성 환경안전 연구소 자문위원
2011.3 – 현재. 기후변화 학회
2011.1 – 현재. 중앙대학교 산업, 창업 대학원 원장
2011.1 – 2014.2. 외교 통상부 정책 자문 위원
2010.1 – 2012.12. 환경부 지속가능 위원회 위원
2009.3 – 현재. 국무조정실, 녹색성장 정책평가 심사위원
2007.3 – 2010.12. 정부 투자기관 경영평가 위원
2007 – 현재. 산림청 중앙 산지 간리위원회 위원
2005.4 – 현재. 한국전력(남부, 동서 발전), 환경경영 자문위원
2005 – 2008.12. UNESCAP 환경정책 자문위원
2004.3 – 2005.3. 수자원 공사, 환경 경영자문위원
2000.3. – 현재. 동북아 경제학회, 이사
2000.3. – 현재. 한국 환경 정책학회, 이사
2000.3. – 현재. 중앙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2000.12. 환경부 장관상
1996. 최우수 논문 발표상 수상, 포스코 경영연구소
1995.1 – 현재. 한국 자원 경제학회, 이사
1995.1 – 2000.2. 포스코경영연구소(posri), 수석연구위원
1994.3 – 현재. 한국 환경 경제학회, 이사
자원환경경제학
1. EU의 환경 규제 정책강화와 한국의 전기가전 산업의 영향과 대책, 환경정책, 2005. 12.
2. 한국 산업계의 온실 가스 저감 가능성과 대응, 한국 기상학회지, 41권 2-1호. pp 315-323. 2005. 5.
3. 소비자 보호와 에너지, 환경, 에너지 문제 연구 총서 11. 한국변호사 협회, 서울. pp. 164-185
4. 북한의 환경친화적 정책, 북한의 농업정책. 비봉출판사, 서울 2002.
5. Practical Approaches for Energy Sector Coope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n the book ‘North Korea in Transition. Prospects for Economic and Social Reform’. Edward Elgar, UK. pp. 237-266.
6. 중국의 대기오염 배출 저감을 위한 한중일 에너지 환경 협력 방안, 10권 제 4호. pp. 591-617. 2001.12.
7. 물과 인권, 김정인 외, 피어나, 2013. 2.
8. 녹색성장 1.0, 김정인 외, 교보문고, 2013. 2.
9. 수도권 제2기 신도시내 친환경 계획요소와 아파트 실거래 가격, 김정인, 정성훈
10. 간의 영향도, 환경정책 연구, 2012. 9.
11. 의사결정나무모형을 이용한 대학생의 에너지 환경행위 결정, 김정인, 정아영, 환경정책, 2012. 12.
12. CEG모형을 이용한 자연재해의 경제적 파급효과, 류문현, 조승국, 김정인.
13. 분석, 한국 환경정책 제 20권 제 1호, pp. 1-21, 201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