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 박사,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 (The Ohio State University), 2007
경제학 석사,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 2003
경제학 학사, 서울대학교, 1991
중앙대학교 경제학부 학부장, 2020. 3∼2022. 2
중앙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2019. 3∼현재
중앙대학교 경제학부 부교수, 2014. 3∼2019. 2
중앙대학교 경제학부 조교수, 2011. 3∼2014. 2
한국은행, 1991∼2011. 2, 자금부 · 조사제2부 · 금융통화위원회실 · 조사국 · 금융경제연구원 등
한국계량경제학회 Journal of Economic Theory and Econometrics 부편집위원장, 2016. 8∼2018. 8
한국경제학회 경제학연구 화폐금융분야 편집위원, 2012∼2013
한국경제의 분석패널 거시분과 위원, 2009∼현재
Instructor, 미국 오하이오주립대, Summer Quarter 2005, Winter Quarter 2006
군 복무, 대한민국 육군, 1991∼1993
학부 강의: 경제학개론2 (1학기), 거시경제학 (1학기), 경제수학 (2학기)
대학원 강의: 거시경제학1 (2학기)
박사학위 논문
제목: Essays on Price-Setting Models and Inflation Dynamics
심사위원: William Dupor (advisor), Paul Evans, J. Huston McCulloch
게재 논문
(SSCI 논문)
Technological Advances in Manufacturing and Their Effects on Sectoral Employment in the Korean Economy, Economic Modelling, 2023, Vol. 126 (September), 106433
Sectoral Shifts and Comovements in Employment, Economics Letters, 2020, Vol. 192 (7), 109208
Decomposing Labor Share Movements in a Small Open Economy: The Case of Korea, Emerging Markets Finance and Trade, 2018, Vol. 54 (10), pp. 2296-2314
Does the New Keynesian Phillips Curve Need Countercyclical Markups? Economic Modelling, 2017, Vol. 63 (June), pp. 262-282
Explaining Movements of the Labor Share in the Korean Economy: Factor Substitution, Markups and Bargaining Power, Journal of Economic Inequality, 2016, Vol. 14 (3), pp. 327-352
Supply Shocks and the Divine Coincidence, Economics Letters, 2016, Vol. 145 (August), pp. 210-213
Markups and Oil Prices in Canada, Economic Modelling, 2013, Vol. 30 (January), pp. 799-813, with Hashmat Khan
The Role of Manufacturing-Specific Technology in Determining the Composition of Hours Worked in Korea, Global Economic Review, 2010, Vol. 39 (2), pp. 197-214, with Kwang Hwan Kim
Identifying a Permanent Markup Shock and Its Implications for Macroeconomic Dynamics, Journal of Economic Dynamics and Control, 2010, Vol. 34 (8), pp. 1471-1491
(SCOPUS 논문)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Effects of a Change in Market Structure on Production and Employment in the Korean Economy, Journal of Economic Theory and Econometrics, 2014, Vol. 25 (2), pp. 1-39
(한국연구재단등재지)
대기업 노사 및 협력업체 사이의 기능별 소득분배에 관한 이론: 원청-하청 구조를 중심으로, 「경제학연구」, 2019, 67집 3호, pp. 45-86
마크업과 한국 경제의 경기변동, 「한국경제의 분석」, 2015, 21권 2호, pp. 119-182
시장구조와 노동생산성: 산업별 특성 분석, 「생산성논집」, 2015, 29권 1호, pp. 3-33
시장구조와 노동생산성: SVAR 모형을 이용한 동태적 분석, 「생산성논집」, 2013, 27권 3호, pp. 167-192
노동소득분배율 측정 및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경제분석」, 2013, 19권 3호, pp. 1-48
기술혁신은 고용없는 성장을 야기하는가? 「경제학연구」, 2012, 60집 3호, pp. 5-54
다부문 경제성장모형에 의한 성장전략 비교분석, 「경제분석」, 2011, 17권 3호, pp. 43-88
구조적 VAR 모형 및 세율자료를 이용한 재정정책의 효과 분석, 「경제학연구」, 2011, 59집 3호, pp. 5-52
개방경제의 실질소득지표에 대한 연구, 「한국경제의 분석」, 2010, 16권 2호, pp. 91-137
물가갭의 인플레이션 예측력에 관한 연구: 통화적 물가결정이론을 중심으로, 「경제분석」, 2009, 15권 3호, pp. 37-83
An Assessment of the New Keynesian Phillips Curve in the Korean Economy, 「경제분석」, 2008, 14권 3호, pp. 85-131, with Byung Kwun Ahn
Working Papers
구조적 VAR 모형 및 세율자료를 이용한 재정정책의 효과 분석, 한국은행 금융경제연구 461호, 2011년 4월 (수정본 경제학연구 게재)
다부문 경제성장모형에 의한 수출주도형 성장전략 평가, 한국은행 금융경제연구 398호, 2009년 9월 (수정본 경제분석 게재: 다부문 경제성장모형에 의한 성장전략 비교분석)
개방경제의 실질소득지표에 대한 연구, 한국은행 금융경제연구 384호, 2009년 6월 (수정본 한국경제의 분석 게재)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기술진보 격차가 고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은행 금융경제연구 370호, 2009년 3월 (수정본 경제학연구 게재: 기술혁신은 고용없는 성장을 야기하는가?)
통화적 물가결정이론으로 본 장기균형물가와 인플레이션, 한국은행 금융경제연구 354호, 2008년 11월 (수정본 경제분석 게재: 물가갭의 인플레이션 예측력에 관한 연구)
An Assessment of the New Keynesian Phillips Curve in the Korean Economy, 한국은행 금융경제연구 331호, 2008년 3월, with Byung Kwun Ahn (수정본 경제분석 게재)
Work in Progress
Better Machines and Sectoral Shifts in Employment, Preliminary
기타 연구자료
교역조건 변동이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은행 조사통계월보, 2002년 5월호
우리나라 인플레이션 요인의 파급과정, 한국은행 조사통계월보, 1995년 9월호
Journal of Money, Credit and Banking, Korean Economic Review, Journal of Economic Theory and Econometrics, Seoul Journal of Economics, International Economic Journal, Journal of Economic Development, 경제학연구, 경제분석, 국제경제연구, 금융연구, 한국경제의 분석 등